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개론9

[부동산학개론] 투자산투자론 - 부동산투자분석 및 기법 / 할인기법①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한 투자분석법(할인기법) 1. 순현가법 (Net Present Value Method ; NPV) 1) 의의 순현가란 투자로부터 예상되는 현금유입의 현가합에서 현금유출의 현가합(지분투자액)을 공제한 금액이다. 순현가법은 순현가를 '0'과 비교하여 투자결정을 하는 방법이다. 2) 투자안의 결정 순현가법을 이용한 투자안의 의사결정은 독립적인 투자안(또는 단일투자안)인 경우와 상호배타적인 투주안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독립적인 투자안이란 하나의 투자안 선택이 다른 투자안 선택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투자안을 말한다. 상호 배타적인 투자안이란 여러 투자안 중 하나의 투자안이 채택되면 다른 모든 투자안들을 자동적으로 기각해야하는 투자안을 말한다. ① 독립적인(independent)투자.. 2022. 5. 9.
[부동산학개론] 투자산투자론 - 포트폴리오 이론② / 상관계수/ 평균분산 상관계수 상관계수는 두 개의 확률 변수가 함께 움직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러한 상관계수는 언제나 -1에서 +1까지의 값만을 갖는다. 1. 상관계수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 수익률이 동일한 방향으로 변동하는 개별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면, 개별 자산 간의 상관계수가 양(+)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분산 효과는 작아지게 된다. 2. 상관계수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수익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동하는 개별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면, 개별 자산 간의 상관계수가 음(-)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분산 효과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투자 대안별 수익률 변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투자자산들을 결합하여 투자하는 것이 위험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 2022. 5. 7.
[부동산학개론] 투자산투자론 - 자산선택 이론 / 포트폴리오 이론① 포트폴리오 이론(portfolio theory) 1. 의의 포트폴리오 이론은 개인 투자자나 개별 기업이 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안정된 편익을 획득하도록 하는 자산 관리의 방법 및 원리를 말한다. 포트폴리오 이론은 1952년 마코위치(H. Marcowitz)의 '포트폴리오 선택(Portfolio Selection)'이라는 논문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후 여러 학자가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나 개별 기업은 한 종류의 자산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는데, 이러한 여러 종류의 자산 조합 또는 집합(combinat.. 2022. 5. 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투자론 - 위험과 수익 / 부동산 위험 태도 부동산 투자의 위험과 수익 1. 위험의 개념 위험(risk)이란 부동산투자에서 예상한 결과와 실현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을 말한다. 즉, 어떤 투자안으로부터 얻어지게 될 결과에 대해 불확실성(uncertainty)이 존재함으로써 발생하는 변동성, 즉 투자수익이 기대치를 벗어날 변동가능성을 뜻한다. 어떤 투자안으로부터 얻어질 실제의 수익률과 기대수익률이 큰 편차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그 편차의 발생 확률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면, 그 투자는 큰 위험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척도인 분산 또는 표준 편차에 의하여 투자 위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1) 위험과 수익의 측정 기대수익률과 위험은 각각 평균(mean)과 분산(variance)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 2022.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