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부동산학개론] 상권의 특징과 상권이론 (중심지이론, 소매인력법칙) 지난 번에 지대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이번에는 상권에 관련하여 특징부터 이론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상권대상 상가가 흡인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소비자의 숫자가 존재하는 권역으로, 상업활동을 성립시키는 지역조건을 가진 공간적 넓이, 즉 상업활동을 하는 곳을 말한다. 시장지역 또는 배후지라고도 부른다. 1) 특징배후지의 인구밀도가 높고, 지역 면적이 크며, 고객의 소득수준이 높아야 좋은 상권을 형성한다.상권마다 매매관습과 소비관습의 차이가 있다.경쟁자의 출현은 상권을 차단하는 중요한 장애물이다. 그 밖에 고속도로, 철도, 하천, 공원, 사회적 지위, 소득수준, 문명, 종교 등의 차이도 상권 차단의 장애물이다.취근 상품의 판매액에 따라 제1차 · 제2차 · 제3차 상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분류제1차 상.. 2025. 4. 2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시장론 - 지대이론② 지난번 지대이론에서 차액지대설, 절대지대설, 준지대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이어서 그 외의 지대이론에 대해 알아볼께요! 아직 못보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에서 먼저 확인해주세요.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시장론 - 지대이론①부동산시장론의 지대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대와 지가1. 지대는 일정기간 동안의 토지서비스의 가격으로서 토지소유자의 소득으로 귀속되는 임대료를 말하며, 유량(flow)의 개념이다.tangsroom.com 지대결정이론2위치지대설 - 튀넨(V.Thunen)튀넨은 리카도의 차액지대이론에 위치개념을 추가하여 이를 입지지대이론으로 발전시켰다. 1) 내용튀넨은 도시중심지와의 접근성으로 거리에 따른 수송비 개념을 도입했는데, 도시중심지에 접근성이 높으면 수송비가 적게 들기 때무에 지대가.. 2025. 4. 2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시장론 - 지대이론① 부동산시장론의 지대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대와 지가1. 지대는 일정기간 동안의 토지서비스의 가격으로서 토지소유자의 소득으로 귀속되는 임대료를 말하며, 유량(flow)의 개념이다.2. 지가는 한 시점에서 자산으로서의 토지 자체의 매매가격으로, 저량(stock)의 개념이다.3. 지가는 장래 매 기간당 일정한 토지로부터 발생하는 지대를 이자율로 할인하여 합계한 것으로, 토지의 현재가치이다.(지가 = 지대/이자율) 지대와 관련된 계념1) 전용수입과 경제지대전용수입 : 어떤 생산요소가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현재의 용도에서 지급되어야 하는 지급액이다.경제지대 : 생산요소가 실제로 얻고 있는 수입과 전용수입과의 차액이다.2) 공급의 탄력성과의 관계공급의 탄력성이 커지면, 전용수입은 증가하.. 2025. 4. 19.
경매 물건 알아보기 경매 공주를 하면서 온비드에서 주변 물건들을 검색해보았다. 그 중에 다음 물건이 어딘 줄 알기에 너무 사고싶고 알아보고싶었다. 사실 아직 잘 몰라서 좋은지 안좋은지도 구분 못하고있지만... 2023. 10. 26.